SMALL
보험회사
보험회사는 다양한 고객에게 위험을 이전하고, 저축 및 투자상품을 제공함.
- 보험회사는 대리점이나 독립브로커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짐.
- 대리점이나 독립브로커(보험설계사)를 통해 자금세탁 기준이 준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 자금세탁에 대한 민감성은 다른 금융회사보다 낮음. 자금세탁이 제한적인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음.(보험은 이체 기능등은 운영하지 않음)
- 생명보험과 연금보험 상품은 자금세탁의 위험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증권부문과 유사함.
보험회사의 자금세탁 위험
- 생명보험과 연금보험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있음.
- 해약환급금을 지급하는 보험상품은 자금세탁의 표적이 될 수 있음.
- 범죄관련 자금을 보험가입 시 납부 후 해약환급급이나 연금을 통해 보험회사가 지급하는 합법적인 자금으로 전환 될 수 있음.
- 해약환급금을 지급하고 보험개시일부터 수익자를 지정할 수 있는 상품은 자금세탁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음.
보험상품 관련 자금세탁자의 특징
- 가입조건보다 해약조건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
- 해약환급금을 지급하지 않는 상품을 기피함.
보험회사가 갖는 자금세탁 취약점 : 브로커에 대한 자금세탁 분야 감독 및 통제부족
- 영업인력 측면에 대한 분산된 감독 : 비전속 대리인(보험설계사)는 보험상품을 판매하지만, 보험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음.
- 판매중심의 목표 : 브로커의 초점은 보험상품의 신규 판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자금 원천 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함.
보험상품을 통한 자금세탁 사례
- 뮤추얼펀드를 통해 최소납입금 이상의 자금 입금 후 조기 인출 위약금 지불하며 자금 인출
- 일시납보험의 매입과 상환
- 계약철회가능기간을 이용하여 계약철회 후 보험사 수표로 교환
- 불법자금으로 가입 후 해약을 통해 보험사 수표로 교환
- 계약자가 아닌 불분문명한 제3자의 보험료 불입
- 랩투자보험 등 보험의 보장보다 투자기회로 활용
금융회사의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위험 평가 시 고려사항이며 아래 해당하는 경우 위험이 있음으로 반영함.
- 보험상품 가입 시 현금 또는 현금등가물 사용 여부
- 일시납으로 보험료를 지불하는 보험 상품 가입 여부
- 보험상품의 가치를 담보로 하는 자금 대출 사용 여부
'공인자금세탁방지전문가(CA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세탁 관련 비금융사업자 및 전문가의 종류 (0) | 2022.12.08 |
---|---|
비은행 금융회사의 자금세탁 특징 下 (증권) (0) | 2022.12.08 |
비은행 금융회사의 자금세탁 특징 上 (카드, TPPP, MSB) (0) | 2022.12.08 |
신용협동조합(주택금융조합)의 자금세탁 특징 (0) | 2022.12.07 |
은행 및 기타 예금취급기관의 자금세탁 특징 下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