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은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와 자산을 타겟으로 하는 악성 행위입니다. 이 중 몇 가지 주요 사이버 위협을 설명하겠습니다:
1. **피싱 (Phishing):** 피싱은 사회 공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을 속여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사기꾼은 일반적으로 이메일, SMS 또는 피싱 웹 사이트를 통해 사람들에게 위장된 메시지를 보내고, 사용자들을 속여 개인 정보나 금융 데이터를 요구합니다. 피싱은 주로 사람들을 속여 비밀번호, 신용 카드 정보, 은행 계정 정보 등을 노출시키는데 사용됩니다.
2. **스피어피싱 (Spear Phishing):** 스피어피싱은 특정 개인, 기관 또는 조직을 대상으로 한 피싱 공격입니다. 공격자는 특정한 관계나 지식을 바탕으로 위장된 이메일, 메시지, 또는 사이트를 보내 속임수를 부려 개인 정보를 탈취합니다. 스피어피싱은 전자우편을 통해 악용되기도 하며, 고도로 특정화된 공격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렌섬웨어 (Ransomware):** 렌섬웨어는 악성 코드의 한 형태로,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원하기 위해 암호 해독 키를 요구하는 공격입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금전적 요구와 함께 해독 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렌섬웨어는 이메일, 악성 링크, 악성 첨부 파일 또는 다른 취약성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4. **악성 소프트웨어 (Malware):** 악성 소프트웨어는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웜, 스파이웨어 등 다양한 형태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이들은 사용자의 시스템에 침투하여 개인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등의 행동을 수행합니다.
5. **봇넷 (Botnet):** 봇넷은 다수의 감염된 컴퓨터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된 컴퓨터들이 조종되어 한 명의 공격자에게 대규모의 공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봇넷은 DDoS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스팸 전송, 개인 정보 탈취 등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6. **파밍 (Pharming):** 파밍은 사용자를 속여 정상적인 웹 사이트로 오인하게 하고,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공격자는 DNS 캐싱이나 DNS 도용 등을 통해 사용자의 웹 트래픽을 악성 사이트로 리디렉션시킵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악성 사이트에 로그인 정보나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어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습니다.
7. **스파이웨어 (Spyware):**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웹 행동을 추적하며, 광고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컴퓨터를 제어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 주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거나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8. **키프로그래머(Keyloggers):** 키프로그래머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는 악성 코드입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 비밀번호, 금융 데이터 등을 훔쳐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키프로그래머는 주로 악성 소프트웨어나 트로이목마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암호화하여 외부로 전송합니다.
9. **스크립트 키등록(Script Kiddies):** 스크립트 키등록은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이버 공격자들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공개된 악성 코드나 공격 도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공격을 수행합니다. 목적은 주로 괴롭히기, 시스템 마비 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탈취 등입니다.
앞서 언급한 사이버 위협들을 특징별로 카테고리화하고 암기하기 쉽도록 재구성한 것입니다:
1. **개인 정보 탈취 및 사기**:
- 피싱 (Phishing):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위장된 이메일이나 사이트를 사용하는 공격.
- 파밍 (Pharming): 사용자를 속여 정상적인 사이트로 오인하게 하고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
- 스피어피싱 (Spear Phishing): 특정 개인, 기관, 조직을 대상으로 한 피싱 공격.
2. **악성 코드 및 침입**:
- 렌섬웨어 (Ransomware):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원에 대한 요구를 하는 악성 코드.
- 스파이웨어 (Spyware):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웹 활동을 추적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 키프로그래머 (Keyloggers): 사용자의 키 입력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는 악성 코드.
3. **일반적인 위협**:
- 봇넷 (Botnet): 감염된 컴퓨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공격을 수행하는 악성 코드.
- 스크립트 키등록 (Script Kiddies): 전문 지식이 부족한 공격자들이 공개된 악성 코드나 도구를 사용하는 공격.
사이버 위협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항상 최신 정보를 유지하고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카테고리화된 핵심을 기반으로 암기하면 사이버 위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ISMS-P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격 (0) | 2023.07.05 |
---|---|
서버 해킹 (0) | 2023.07.05 |
악성코드 Malware (0) | 2023.07.05 |
Syslog (0) | 2023.07.05 |
at과 crontab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