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코드(Malware)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개발된 악의적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아래에는 악성 코드의 주요 유형과 간단한 설명을 제공하겠습니다:
1. **바이러스(Virus):** 악성 코드의 가장 잘 알려진 형태로, 자기 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파일에 감염 코드를 삽입하여 전파될 수 있으며, 실행되었을 때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손상시키거나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2. **트로이목마(Trojan Horse):** 유용한 기능을 가장한 악성 코드로, 사용자의 인식 없이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다른 소프트웨어로 가장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게 만들어 사용자의 시스템에 침투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유출, 원격 조작 등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루트킷(Rootkit):**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고, 해당 시스템에서 발견되기 어렵게 자신을 숨기는 악성 코드입니다. 주로 시스템에 대한 외부 침투 후 백도어(Backdoor) 접근을 제공하거나 로그인 정보를 수집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크래킹 소프트웨어(Cracking Software):**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보호를 우회하여 무료로 사용하거나 불법 복제하는 데 사용되는 악성 코드입니다.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 및 해킹 도구를 제공하여 보안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5. **키로그 소프트웨어(Keylogger Software):** 사용자의 키 입력을 기록하고 도용하는 악성 코드입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 비밀번호, 계좌 정보 등을 훔쳐낼 수 있습니다.
6. **웜(Worm):** 자기 복제 기능을 가지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악성 코드입니다. 자동으로 시스템 간에 복사하여 전파되며, 네트워크 대역폭을 소비하거나 시스템 리소스를 고갈시키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각 유형의 악성 코드는 특정한 작업 및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시스템에 침투하고 악의적인 목적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보안 솔루션 및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업데이트와 패치를 정기적으로 수행하여 악성 코드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SMS-P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해킹 (0) | 2023.07.05 |
---|---|
사이버 위협 (0) | 2023.07.05 |
Syslog (0) | 2023.07.05 |
at과 crontab (0) | 2023.07.05 |
setuid, setgid 그리고 sticky bit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