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9)
ECDSA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ECDSA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는 DSA (Digital Signature Algorithm)의 타원곡선 버전입니다. ECDSA는 공개키 암호화에서 널리 사용되는 타원곡선 암호(ECC, Elliptic Curve Cryptography)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ECDSA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안성**: 타원곡선 암호는 RSA와 비교하여 작은 키 크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보안 수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56비트 ECDSA 키는 대략 3072비트 RSA 키에 해당하는 보안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며, 저장 공간과 연산력을 절약해줍니다. - **효율성**: ..
전자 코드북 모드(Electronic Code Book mode, ECB mode) 전자 코드북 모드(Electronic Code Book mode, ECB mode)는 블록 암호의 가장 간단한 운용 모드 중 하나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각각의 평문 블록이 독립적으로 암호화됩니다. 다만 추측가능하기에 보안에 취약합니다. ECB 모드의 암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문을 블록 크기에 맞게 나눕니다. 예를 들어, AES 암호의 경우, 128비트 블록 크기를 사용합니다. 2. 각 평문 블록을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합니다. 동일한 평문 블록은 항상 동일한 암호문 블록을 생성합니다. 3. 모든 평문 블록이 암호화되면 암호문 블록을 연결하여 최종 암호문을 생성합니다. ECB 모드는 간단하고 빠르며, 병렬 처리가 가능하지만, 동일한 평문 블록은 항상 동일한 암호문 블록을 생성하므로, 암..
메시지 인증 코드(Message Authentication Code, MAC) 메시지 인증 코드(Message Authentication Code, MAC)는 주어진 메시지에 대한 무결성과 인증을 제공하는 보안 기능입니다. MAC는 메시지와 비밀 키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에서도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메시지에 대한 MAC을 생성하여 원래 전송된 MAC과 비교함으로써 메시지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송신사실을 부정하는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음. MAC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결성 검증**: MAC은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수신자가 메시지를 받을 때 해당 MAC을 확인하고,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수신한 메시지에서 새 MAC을 생성한 다음, 두 MAC을 비교하여 메시지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
생일의 역설 "생일의 역설"은 확률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예상보다 적은 수의 무작위 선택이 있을 때 일치 또는 중복 항목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는 "생일 문제"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이 이름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65일 중에서 어떤 특정한 날과 같은 생일을 가진 사람을 찾으려면 평균적으로 약 183명의 사람을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두 사람이 같은 생일일 확률은 23명의 사람만 모여도 약 50%에 이릅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 예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생일의 역설"이라고 부릅니다. 컴퓨터 과학과 암호학에서는 "생일의 역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해시 함수의 충돌을 찾는데 이용되며, 이를 "생..
SSL/TLS 암호화 스위트(Cipher Suite) SSL/TLS 암호화는 암호화 스위트(Cipher Suite)를 사용해 설정되며, 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사용될 키 교환, 인증, 암호화, 메시지 인증 코드(MAC) 알고리즘을 지정합니다. 암호화 스위트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키 교환_인증_암호화+운영모드_MAC 알고리즘` 다음은 이러한 암호화 스위트의 예입니다: SSL/TLS 암호화 스위트의 안전성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요소들에는 사용되는 키 교환 및 인증 알고리즘, 암호화 알고리즘, 메시지 인증 코드(MAC) 알고리즘, 그리고 이들의 구현이 포함됩니다. 다음은 암호화 스위트의 예와 각각의 안전성에 대한 간략한 평가입니다: 1. **ECB 모드를 사용하는 예**: - `TLS_RSA_WITH_AES_128_ECB_..
접근통제 모델 접근통제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황별 어떤 접근통제 모델이 적정한 지 확인해보세요. 1.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DAC는 자원의 소유자나 그룹이 접근을 통제하고, 각 사용자에게 특정 권한(읽기, 쓰기, 실행 등)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UNIX 시스템의 파일 권한 관리가 DAC에 속합니다. DAC의 주요 문제점은 실수로 또는 고의로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DAC는 자원의 소유자가 직접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 예를 들어 개인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 또는 소규모 조직 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MAC (Mandatory Access Control)**: MA..
사용자 인증기술 사용자 인증기술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들 각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ype 1: 무언가를 알고 있는 것(Knowledge factors)** -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 들면, 암호, PIN 번호, 사용자 이름과 같은 정보가 있습니다. 2. **Type 2: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것(Possession factors)** -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무언가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 보안 토큰, 휴대폰 등이 있습니다. 3. **Type 3: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Inherence factors)** -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홍채 인식 등이 있습니다...
위험의 분석 구분 방법 암기 정량적 위험분석 ALE(연간예상손실) 과거자료 분석법 수학공식 접근법 확률 분포법 연과수학 정성적 위험분석 델파이법 시나리오법 순위결정법 순위결정법의 작성내용에 대해 살펴보세요.
암기) 개인정보의 제공 개인정보의 제공은 다음과 같이 암기한다. 구분 요약 내용 개인정보처리자 자 목 항 기 거 1.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2.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 목적 3.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4.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5.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이 있는 경우에는 그 불이익의 내용 관련 법령 제17조(개인정보의 제공) ① 개인정보처리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공유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할 수 있다. 1.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은 경우 2. 제15조제1항제2호ㆍ제3호ㆍ제5호 및 제39조의3제2항제2호ㆍ제3호에 따라 개인정보를 수집한 목적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포트 스캔(Port Scan) 포트 스캔(Port Scanning)은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포트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포트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한 번호입니다. 포트 스캔은 네트워크 보안 점검이나 해킹 공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포트 스캔은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트 스캐너 도구에는 Nmap, Nessus, OpenVAS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대상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포트를 스캔하여 열려 있는 포트와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 스캔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비스 및 시스템의 취약점 분석: 포트 스캔을 통해 열려 있는 포트를 확인하여 해당 포트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나 애플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