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ACS+ (Terminal 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System Plus)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인증, 권한 부여 및 감사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TACACS+는 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와 함께 주로 사용되며,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감사 기능을 강화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합니다.
TACACS+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인증 (Authentication)**: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 TACACS+ 서버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합니다.
2. **권한 부여 (Authorization)**: 인증된 사용자에게 특정 작업 및 자원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TACACS+는 사용자가 특정 명령어나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권한 수준을 설정합니다.
3. **감사 (Accounting)**: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고 감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TACACS+는 사용자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 시간, 액세스한 자원, 수행한 작업 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감사 및 감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TACACS+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AAA 서비스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관리 및 감사를 용이하게 합니다. TACACS+는 확장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인증 메커니즘과 암호화 기술을 지원하여 보안 요구에 맞추어 구성할 수 있습니다.
TACACS+를 운영하고 실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와 사례를 고려해야 합니다:
1. **TACACS+ 서버 설치 및 설정**: TACACS+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해야 합니다. 서버의 운영 체제에 맞는 TACACS+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고, 서버 설정을 위한 필수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 정보에는 사용자 계정, 그룹 및 권한 설정, 감사 로깅 등이 포함됩니다.
2. **인증 및 권한 설정**: TACACS+ 서버에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사용자별로 인증 정보와 권한을 할당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네트워크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제어하고, 권한 수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설정은 권한 부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3. **네트워크 장비 구성**: TACACS+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간의 연동을 설정해야 합니다. 각 장비에서 TACACS+ 서버로 인증 및 권한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 설정하고, TACACS+ 서버에서 장비에 대한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4. **감사 로깅 및 모니터링**: TACACS+ 서버에서는 감사 로깅을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 액세스한 리소스 등의 정보를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활동을 추적하고, 보안 이슈나 정책 준수에 대한 감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감사 로깅 설정은 감사 추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보안 주의사항**: TACACS+ 서버와 관련된 보안 주의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한하고,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 (예: SSL/TLS)을 사용하여 통신을 암호화해야 합니다. 또한, 암호 정책을 강화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보안 취약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실무에서 잘못 설정된 TACACS+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오용된 권한 할당**: 사용자에게 잘못된
권한이 할당되어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부적절한 액세스가 허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권한 설정 시 신중함이 필요하며, 권한의 최소화와 원칙에 따라 적절한 할당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2. **감사 로깅 부재**: TACACS+ 서버에서 감사 로깅을 활성화하지 않거나 로그를 적절하게 분석하지 않는 경우, 보안 이벤트나 위협을 식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사 로깅 기능을 활성화하고, 정기적으로 로그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보안 상황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 **암호 보안 문제**: TACACS+ 서버에 사용되는 암호가 약하게 설정되어 있거나, 암호화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인증 정보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암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강력한 암호 정책을 적용하고, 암호화 통신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주의사항과 최선의 실무 관행을 준수하여 TACACS+를 운영하고 구성함으로써, 안전한 인증, 권한 부여, 감사 및 보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ISMS-P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eful inspection 개념과 활용 (0) | 2023.06.21 |
---|---|
Spring bot (0) | 2023.06.21 |
방화벽 튜플 Tuple (0) | 2023.06.21 |
Iptables (0) | 2023.06.16 |
유닉스 중요 로그파일의 결과 샘플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