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P와 TCP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일부로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다음은 UDP와 TCP의 개념과 주요 차이점입니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합니다.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최소한의 오류 검출과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전송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도착하는 순서와 보낸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신뢰성이 낮은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확인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빠릅니다.
- 주로 실시간 스트리밍, DNS 등의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TCP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연결 설정 후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전송합니다.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오류 검출과 복구 기능, 데이터 순서 보장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전송 순서가 보장되며, 손상된 데이터가 있으면 재전송을 요청합니다.
-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중요시합니다.
- 주로 파일 전송, 이메일, 웹 브라우징 등의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UDP와 TCP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 방식: UDP는 비연결형이므로 논리적인 연결 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TCP는 연결형이므로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인 연결을 수립합니다.
2. 신뢰성: UDP는 데이터의 오류 검출과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TCP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오류 검출과 재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3. 순서 보장: UDP는 데이터 전송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TCP는 데이터 전송 순서가 보장되며, 수신 측에서 보낸 순서대로 데이터를 재조립합니다.
4. 성능: UDP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오버헤드가 적고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UDP는 신뢰성보다는 속도와 실시간성이 중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TCP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ISMS-P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B 프로토콜을 통한 접근통제 (0) | 2023.07.03 |
---|---|
웹셸 공격 개요 (0) | 2023.07.03 |
IEEE 802.1X 네트워크 접근 제어 (0) | 2023.06.27 |
웹서버와 WAS의 개념차이 (0) | 2023.06.27 |
클라우드 보안 VPC과 Subnet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