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MS-P/보안

sha256해쉬처리

728x90
반응형

sha256해시처리하기를 통해 암호화 이해하기

 

실습을 위한 예제가 포함된 대상파일및 폴더

2개의 같은 값을 갖는 파일과 1개의 다른 팡리

윈도우즈 powershell실행

아래 명령어 입력 후 파일이 저장된 위치 선정, 모든 파일을 대상으로 하기위해 *.txt를 입력함.

TEST.txt와 TEST.3txt는 동일한 내용을 텍스트파일로 Hash가 같음.

 

 

가명처리등을 위해 salt를 추가하는 방법

# 솔트와 비밀번호를 정의합니다.
$salt = New-Object byte[] 16
$rand = [System.Security.Cryptography.RandomNumberGenerator]::Create()
$rand.GetBytes($salt)
$password = 'your-password'

# 솔트를 비밀번호에 추가합니다.
$saltedPassword = $password + [System.Convert]::ToBase64String($salt)

# 솔트가 추가된 비밀번호의 SHA256 해시를 계산합니다.
$saltedHash = Get-FileHash -Algorithm SHA256 -InputStream ([System.IO.MemoryStream]::new([System.Text.Encoding]::UTF8.GetBytes($saltedPassword)))

# 해시 결과를 출력합니다.
$saltedHash.Hash

이 코드는 16바이트의 임의의 솔트를 생성하고, 이를 비밀번호에 추가한 후에 SHA256 해시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비밀번호의 해시를 저장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밀번호를 확인할 때는 같은 솔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솔트는 안전하게 저장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솔트는 해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비밀번호를 확인할 때는 저장된 솔트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해시를 계산한 후 저장된 해시와 비교합니다.

728x90
반응형

'ISMS-P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근통제 기술적 종료  (0) 2023.06.14
TCP Wrapper  (0) 2023.06.13
반출입 기기 통제 패치용 노트북의 최근 이용내역 확인  (0) 2023.06.08
RAID 수준과 백업의 관계  (0) 2023.06.08
아파치 웹서버 대표 명령어  (0) 2023.06.08